YTN은 '가짜 파생상품 거래소' 관련 사기 사건에 대해 연속 보도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보도가 나간 이후 눈물로 호소하며, 같은 사기를 당했다는 제보가 빗발쳤습니다. <br /> <br />피해자들은 주로 코로나19로 생계가 어려워진 소시민들이었는데, 사기 조직은 생계가 절박한 이들의 심리를 악랄하게 파고들며, 대출에 집 보증금까지 뜯어냈습니다. <br /> <br />김우준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부산에 사는 40대 기초생활수급자 김 모 씨. <br /> <br />코로나19 대유행은 유일한 소득원이었던 '슈퍼마켓' 아르바이트마저 앗아갔습니다. <br /> <br />엎친 데 덮친 격으로 허리까지 다치면서, 온종일 집에 누워있을 수밖에 없던 김 씨가 선택한 건 주식. <br /> <br />소액으로 시작한 만큼 수익은 미미했지만, 김 씨에겐 피 같은 생활비였습니다. <br /> <br />[김 모 씨 / '가짜 거래소' 사기 피해자 : 욕심도 아니고, 진짜 달걀 한 판 살 돈이 없어서 달걀 한 판 사려고, 제가 처음에 주식을 시작했습니다.] <br /> <br />그러다 지난달 불특정 다수에게 뿌려진 주식 종목 '리딩 문자'의 덫에 걸려버린 김 씨. <br /> <br />사기 조직은 김 씨의 어려운 형편을 알고는 더 악랄하게 뜯어냈습니다. <br /> <br />['가짜 거래소' 사기 업체 관계자 : 무조건 실패할 수가 없다는 거예요. 그런데 1% 확률이라도 실패한다? 제가 그 돈 보내드릴게요.] <br /> <br />원금을 볼모 삼아 신용대출에 현금서비스까지 각종 대출을 받게 한 업체는 지난달 27일 투자금을 몽땅 챙긴 채 사라졌습니다. <br /> <br />김 씨에게 남은 건 평생 만져 본 적도 없는 9천만 원에 달하는 빚더미뿐. <br /> <br />[김 모 씨 / '가짜 거래소' 사기 피해자 : 이거는 내가 죽을 때까지 갚아도 갚을 수가 없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. 제가 오죽하면 파산도 전화해서 물어보고요.] <br /> <br />코로나19로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면서 생계가 어려워진 50대 주부 박 모 씨도 상황은 비슷합니다. <br /> <br />리딩 문자를 받은 뒤 절박한 심정으로 시작한 투자. <br /> <br />한 달이 채 안 돼 대출에 월세 보증금까지 탈탈 털렸습니다. <br /> <br />[박 모 씨 / '가짜 거래소' 사기 피해자 : 평소에 잘 먹고 잘사는 것도 아니고, 내 목구멍에 넘어가는 거 아끼고, 이렇게 사는 상황에서 내가 이렇게 돼서 누구한테 말도 못하겠고.] <br /> <br />피해자 가운데에는 부모님 수술비를 뜯긴 경우도 있고, 자녀 결혼자금을 날린 사례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정 모 씨 / '가짜 거래소' 사기 피해자 : 이틀 삼 일째 아무것도 못 먹고 있다가 쓰러졌다는 것이에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우준 (kimwj0222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10904222042589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